7. 응용 계층 : 어플리케이션에 데이터 전송하기
(세션 계층, 표현 계층 포함하여 정리)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어플리케이션 계층)란?
: OSI 모델의 최상위 계층으로 다양하게 존재하는 응용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다룸
시스템 간의 응용 처리는 상호 간에 통신하면서 일련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서비스 기능 제공
이메일, 파일 전송, 웹 사이트 조회 등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
프로토콜 | 내용 |
HTTP | 웹 사이트 접속 |
DNS | 이름 해석 |
FTP | 파일 전송 |
SMTP | 메일 송신 |
POP3 | 메일 수신 |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80번 포트 사용
웹 서비스에서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웹 브라우저에서 HTTP 요청을 보냄 -> 웹 서버에서 HTTP 응답 반환
- HTTP/1.0 버전 : 연결 수립 - 요청 - 응답 - 연결 끊기 반복으로 요청마다 연결했다 끊음 -> 느림
- HTTP/1.1 버전 : keepalive 기능 추가 - 연결 한 번 수립 시, 데이터 교환 마칠 때까지 유지
연결 수립 - 요청 - 응답 - 요청 - 응답 -.... - 연결 끊기
- HTTP/2 버전 : 요청을 보낸 순서대로 응답 반환하지 않아도 됨 -> 콘텐츠 빠르게 표시 가능
연결 수립 - 요청 - ... - 요청 - 응답 - ... - 응답 - 연결 끊기
- DNS(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이름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URL(호스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시스템)
DNS 서비스가 동작하는 컴퓨터(서버)를 DNS 서버라고 함
- 이름 해석(Name resolution)
: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에 붙여진 이름을 기반으로 IP주소를 알아내는 것
Ex) www.naver.com
* 도메인 이름 :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 (naver.com)
* 호스트 이름(서버 이름) : 도메인 이름 앞에 있는 이름(www)
1. 웹 브라우저에 URL 입력하여 접속 (컴퓨터)
2. 도메인의 IP주소 요청 (컴퓨터 -> DNS 서버 -> DNS서버 ...)
=> 해당 도메인의 IP주소 모를 시 다른 DNS서버에 요청
3. URL의 IP주소 응답 (DNS 서버 -> 컴퓨터)
4. IP주소로 접속(컴퓨터 -> 웹 서버)
- FTP(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 전송 프로토콜, 21번 포트 사용(제어 용도)/20번 포트 사용(데이터 전송 용도)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 일반적으로 25번 포트 사용
인터넷에서 메일을 송신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SMTP를 지원하는 서버를 SMTP 서버라고 함
(컴퓨터1 -> 메일서버1 ) -> 메일서버2
메일 전송
1. 세션 시작 통지
2. 송신자의 메일 주소 통지
3. 목적지 메일 주소 통지
4. 메일 본문 전송 통지
5. 메일 본문 송신
6. 세션 종료 통지
-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 포스트 오피스 프로토콜, 일반적으로 110번 포트 사용
인터넷에서 메일을 수신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POP3을 지원하는 서버를 POP3 서버라고 함
(메일서버1 -> 메일서버2 <-> 컴퓨터2 )
1. 세션 시작 통지
2. 수신자의 사용자 이름 통지, 메일서버2에 'OK' 확인 응답 반환
3. 수신자의 비밀번호 통지, 메일서버2에 '비밀번호 확인' 확인 응답 반환
4. 메일 확인, 메일서버2 '있음' 확인 응답 반환
5. 메일 전송 요청, 컴퓨터2에서 메일박스에 보관된 이메일 전송받음
6. 세션 종료 통지
* 메일박스 : 메일서버2에 있는 것으로 메일이 저장되어 있는 곳
* WWW(World Wide Web, 월드 와이드 웹)란?
: W3, 웹(Web)이라고도 불리움
멀티미디어 인터넷 서버
HTML, URL, HTTP 기술 사용됨
-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언어, 문장 구조 혹은 문자를 꾸미는 태그 사용
문장이나 이미지 표시, 하이퍼링크(hyperlink) 사용 가능
웹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로 볼 수 있음
WWW를 통해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들 때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인터넷에서 파일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기술된 주소
웹 사이트 주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
- 요청(Request)/응답(Response)
: 클라이언트 'GET 혹은 POST' 요청으로 서버에 요청 정보, 파일이름, 버전 등 전송
서버에서 'OK' 정보 반환 후 index.html 클라이언트에 전송
* ping란?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을 사용하여 목적지 컴퓨터에 ICMP 패킷을 전송하고
패킷에 대한 응답이 제대로 오는지 확인하는 명령
ping 명령이 정상으로 실행될 시, 네트워크 연결이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문제 확인 시, 사용
== 윈도우키 + R => cmd => 명령프롬프트 열기 ==
<ping 명령어 사용법>
ping '목적지 IP주소'
ping '목적지 호스트 이름'
'스터디 > IT 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기초 지식 도서 ⑨ [모두의 네트워크] (0) | 2021.09.04 |
---|---|
IT 기초 지식 도서 ⑧ [모두의 네트워크] (0) | 2021.09.03 |
IT 기초 지식 도서 ⑥ [모두의 네트워크] (0) | 2021.01.27 |
IT 기초 지식 도서 ⑤ [모두의 네트워크] (0) | 2021.01.26 |
IT 기초 지식 도서 ④ [모두의 네트워크] (0) | 2021.01.22 |
댓글